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 호스팅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가상 서버 호스팅으로 다수의 물리적 서버에 가상화 기술(KVM, Hyper-v)을 적용하여,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만들어 호스팅하는 방식입니다.
CPU Core 단위로 분할되어 마치 개별 서버처럼 운용이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수도나 전기에 대한 요금이 청구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사용량에 따라 서비스 요금이 청구되며, 필요한 리소스를 탄력적이고 신속하게 확장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Linux 호스팅과 Windows 호스팅의 차이점은 개발환경에 있습니다.
Linux 호스팅에서는 PHP와 MYSQL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HTML 중심의 홈페이지를 운영하시거나, 사이트 내에서 CGI 프로그램 및 PHP를 주로 사용하신다면 Linux 서버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호스팅에서는 ASP스크립트 언어와 MS SQL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ASP와 MS SQL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식의 홈페이지를 운영하신다면 Windows 기반의 IIS 웹 서버를 사용하는 Windows 호스팅을 권장해 드립니다.
해당 운영체제는 고객님 PC의 운영체제와는 무관하며, 서버의 운영체제와 호스팅 사용자의 운영체제는 일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반드시 위의 케이스로만 개발환경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별도의 써드파티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FTP 접속시 아래와 같은 내용에 해당이 되시는 경우 참고하세요
1. FTP 접속시 Resolving host name 이라고 나옵니다..
Resolving host name 은 FTP 주소를 찾지못하는 경우 나오는 서버 메세지입니다.
호스팅이 세팅 되기전 접속 시도를 하셨거나 사용중인 인터넷 회선에 찾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잠시 사용을 중단하시고 3시간 정도 후에 다시 접속을 하시면 됩니다.
바로 접속을 하셔야 하는 경우에는 호스트명에 FTP IP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2. Sorry, 503 connection allow per one host
하나의 계정아이디로 동시에 FTP에 접속할수 있는 수는 3개로 제한이 되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FTP 연결이 5번이 되어져 있거나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하는 중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기존에 접속되어져 있던 정보
가 남아 있어 위와 같은 에러가 나오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FTP 접속시 Passive Mode 에 체크를 하지 않고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많이 나오는 증상입니다.
위의 증상 해결 방법은 20분정도 후에 다시 접속 시도를 하시면 되며, 또한 해결 방법은 FTP 접속시 Passive Mode에 체크를 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SSH 로 서버에 접속하신 다음 du -sh 라는 명령어을 치시면 계정의 사용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갑자기 ping이 나가지 않을 경우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크게 다음 두 가지의 경우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는 과다한 트래픽으로 인해 서버가 다운된 경우이거나,
혹은 고객님께서 어떤 작업을 해 주신 후 리부팅을 했을 때 네트워크 관련 데몬이 올라오지 않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둘째는 고객님께서 사용하고 계시는 아이피 대역의 네트워크 장비 문제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서비스가 끊긴 경우일 수 있습니다.
상기 두 경우 모두 8만볼트 고객센터로 전화를 주셔서 아이피를 말씀해 주신 후 서버 상태를 체크해 달라고 요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8만볼트는 서버 인계시 고객님이 직접 로그인하여 확인이 가능한 MRTG 그래프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님의 서버에서 사용중인 IN/OUT 트래픽을 일,월,년간 단위로 직접 확인해 보실수 있습니다.
8만볼트는 기본적으로 입금이 확인된 이후 8시간 이내에 서버셋팅을 완료하여 인계해드리며, 서비스신청이 완료되면 세부 설치 항목 및 요구사항 확인을 위해 담당자가 고객님께 연락을 드려 확인 후 셋팅을 진행합니다.
다만, IDC의 작업 상황에 따라 인계시간은 앞당겨지거나 늦어질 수 있습니다.
서버 사양과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가 천차만별이므로, 사이트의 갯수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별도 문의를 주시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트래픽비용은 종량제 및 대역폭과금제에 따라서 비용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청구가 됩니다.
최초 서비스 신청 시 선택한 기본 트래픽에서 초과되는 트래픽은 자동으로 부과금액이 합산되어 청구되며
[기본 트래픽요금+초과 트래픽요금=최종 트래픽요금]이 됩니다.
트래픽 과금에는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종량제방식과 대역폭 과금방식입니다. 두가지 방법이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고객님에게 유리한 요금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종량제 과금방식 : 네트워크 속도에 구애받지 않고 회선에서 지원하는 모든 속도를 사용할수 있으며, 회선사용량을 합산하여 청구하는 방식입니다.
단기간에 빠른 회선속도를 이용하고자 하실때 적합합니다.
*대역폭 과금방식 : 계약시 기본사용 대역폭을 지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계약트래픽이 30M일 경우는 30M 내외에서만 트래픽 사용이 가능하며, 30M를 초과하는 횟수가 잦을 경우에는 더 높은 대역폭으로 계약을 하셔야 합니다.
특정 시간에 트래픽이 집중되지 않는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시는 경우 적합합니다